News/Notice

뉴스

[한국경제] "특허는 매력적 투자대상…시장 키워 괴물에 대응을"
profile_image
관리자
  • Views 3,926
  • 12-05-28 01:33

김홍일 아이디어브릿지 사장 "특허는 매력적 투자 대상…시장 키워 괴물에 대응을"

한국기업 노리는 특허괴물
공업용 절삭공구에 깔려도 잘리지 않는 절단방지용 특수장갑 제조 기술과 관련 특허를 갖고 있는 국내 기업 D사. D사는 최근 세계 최대 콘돔 제조업체 중 하나인 A사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에 휘말렸다. D사의 장갑을 납품받아 세계 각국에 팔던 A사가 D사가 보유한 특허를 차지하기 위해 돌변한 것이다. D사는 A사 외 납품처를 물색하는 동시에 전략적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김홍일 아이디어브릿지 사장(사진)은 “D사같이 특허를 표적으로 적대적 M&A에 노출된 중소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며 “특허괴물에 당하고만 있을 순 없다”고 말했다. 아이디어브릿지는 재작년 ‘한국판 인텔렉추얼벤처스(IV)’를 표방하며 민관 매칭 방식으로 출범한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가 100% 출자한 자회사다. 올해 3월 금융위원회로부터 정식 자산운용사 인가(특별자산집합투자업)를 받고 현재 1호 펀드에 참여할 기관투자가를 모으고 있다. 이 회사는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가 매입한 특허 자산을 유동화해 수익을 낸 뒤 투자자들에게 되돌려주는 역할을 맡는다. 그러나 생소한 사업모델 때문에 투자자들이 반신반의하고 있는 상태다. ‘특허자산 유동화’ 개념이 국내에서 전례가 없었던 탓이다.

김 사장은 “원래 기술 개발의 결과가 특허지만, 요새는 특허가 기술과 분리돼 그 자체로 무기가 되는 세상이 됐다”고 강조했다. 또 “기술은 카피(복제)가 가능하지만 특허는 선점하면 카피가 불가능하고 지속적인 이득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투자자산”이라며 “금융권의 부동산 위주 대출 관행의 패러다임을 서둘러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요즘 은행 증권사 연기금 공제회 등 기관투자가들을 일일이 방문해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고 있다. 김 사장은 “해외에선 특허 자체가 지속적으로 손바뀜을 하면서 유통되고 있으며, 기술과 분리돼 거래되는 2차시장까지 열려 있다”며 “특허에 대한 환금성과 담보력 모두를 인정받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김 사장은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걸맞은 특허 유통 시장이 마련돼야 기업의 지속성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